본문 바로가기
나홀로일본어

일본어 독학 왕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품사와 종류

by (ง •̀_•́)ง! 2023. 4. 5.

일본어 공부를 띄엄띄엄하다가 35세들어서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3개월 정도가 지나고 있다. 나도 지금 일본어 초보이지만 처음부터 정리하고 넘어갔으면 조금 더 쉬웠을까? 하는 부분이 있어서 혼자서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다. 영어를 배웠을 때도 본인이 약했던 부분이 무엇인가 생각하며 일본어를 접근해 보는 것이 좋다. 영어를 배울 때도 나는 품사에 대하여 굉장히 이해도가 떨어졌었는데 일본어도 동일하게 품사가 어렵게 느껴졌다. 그래서 일본어를 배우기에 앞서 품사에 대하여 미리 이해하고 시작하면 훨씬 더 도움이 된다.

 

.,.1

 

품사란 무엇인가?

품사란 단어를 특징에 따라 종류별로 분류를 해둔 것이라고 정의한다. 문법의 가장 기초가 될 수 있으며 품사는 각 나라마다 그 분류가 조금씩 다르게 정의된다. 국어에는 9가지 품사, 영어에는 8 품사, 일본어에는 10품 가지 품사가 있다. 일본어 10 품사는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명사, 연체사, 접속사, 감탄사, 조사, 조동사가 있다. 이처럼 많은 품사를 가지고 있는 일본어이기 때문에 일본어 독학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머릿속에 품사를 정리하면 매우 도움이 된다.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품사의 종류를 알아보자.

 

꼭 알아야 할 품사의 종류와 정의

  • 동사

동사(動詞)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 상태, 또는 발생을 나타내는 말이나 단어를 동사라 칭한다. 대부분 문장 끝에 온다. 일본어의 동사는 う 단(う, く, す, む, る..)로 끝나며  의미와 시제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태가 변형되어 활용된다. 동사의 예는 食べる(타베루:먹다), 行く(이쿠:가다), む(노무:마시다), 見る(미루:보다), 話す(하나스:이야기하다) 등이 있다. 이러한 동사들이 다양한 시제에 따라 う 단(う, く, す, む, る..) 단의 어미가 바뀌며 정중형(보통체), 부정형, 과거형 등으로  변형되어 활용된다. 

 

  • 형용사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명사와 대명사를 수식하고 명사 앞에 온다. 말하는 이나 듣는 이의 성별에 따라 바뀌지 않는다. 형용사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위에 말한 형용동사가 형용사에 포함된다. 형용사는 기본형인 い형용사와 な형용사로 나뉜다. い형용사는 い로 끝나고 な형용사는 だ로 끝난다. だ형용사는 명사 앞에 오며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할 때 だ가 な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므로 な형용사라고 부른다. い형용사는 可愛い(카와이이:귀엽다), 美味しい(오이시이:맛있다), 楽しい(타노시이:즐겁다), おもしろい(오모시로이:재미있다), 速い(하야이:빠르다).. 등이 있다. な형용사는 便利だ(벤리다:편리하다), 幸せだ(시아와세다:행복하다), きれいだ(키레이나:예쁘다) 등이 있다. 

 

  • 명사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을 의 명칭을 나타낸다. 사람, 장소, 사물, 추상적 개념을 나타낸다.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다. 말하는이나 듣는 이에 따라 형식이 변하지 않는다. 명사의 예로는 人(히토:사람), 家(이에:집), 花(하나:꽃) 経済(케이자이:경제), 学生(각세이:학생), 猫(네코:고양이) 등이 있다.  지시대명사는 실제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명사다.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 의문 대명사로 나뉜다. 인칭대명사는 私(와타시:나) 등이 있고, 지시대명사는 これ(고레:이것), あれ(아레:저것)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의문대명사는 誰(다레:누구), どれ(도레:어느 것) 등이 있다.

 

  • 부사

부사는 동사, 형용사 및 다른 부사를 수식한다. 행동이나 상태의 방식이나 정도를 나타내주는 역할을 한다. 의성어, 의태어도 보함 된다. 형용사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부사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速く(하야쿠:빠른), よく(요쿠:잘), ぜひ(제히:꼭), あまり(아마리:별로) 등이 있다.

 

  • 조사

문장에서 단어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지만 다른 단어의 의미를 명확히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조사의 종류에는 문장의 주제를 표시하는 は(하:~은/~는), が(~이/~가)가 있고, 문장의 대상을 시하는 を(오:~를), に(니:~에), 대상의 위치나 소속을 표시하는 の(노:~의) 등이 있다. 단독으로 쓰일 수 없으며 어구에 뭍에서 사물의 관계나 의미를 나타낼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접속사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준다. 접속사의 종류에는 そして(소시떼:그리고), だから(다카라:때문에), それで(소레데:그래서), しかし(시카시:그러나) 등이 있다. 

 

 

 

이 정도의 일본어 품사만 이해하고 일본어 공부를 시작해도 많이 도움이 될 것이다. 문장을 보며 이것은 명사구나 조사구나 생각하며 공부한다면 더욱 따르게 문법을 배워나갈 수 있다.

 

댓글